콘텐츠로 건너뛰기
시각장애우
-
시각에 장애가 있는 환자들에게는 큰 움직임으로 구강보건교육을 하도록하며, 주로 사용하는 흰색치실보다는 녹색이나 붉은색의 치실을 사용하도로 권합니다. 또한 자신의 구강내 위생상태를 확대하여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. 거울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각 장애의 경우에는 감각이나 냄새로 자신의 구강내 위생상태를 확인토록 합니다.
청각장애우
-
청각장애가 있는 환자들을 대할때는 환자의 정면에 서서 눈높이를 같게하여 얼굴을 마주보고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환자를 진료할 때 환자의 머리뒤인 12시 방향에 위치하여 환자의 귀에 팡이 거의 닿도록함으로써 동작을 귀의 감각으로 느끼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. 보청기를 장착하고 있는 환자들은 보청기를 틀어놓고 예방교육을 받도록 합니다.
발음 및 언어 장애우
-
실어증에 걸린 환자는 인식은 정상이지만 말을 하거나 발음하는데 지장이 있으므로 어떤 질문에 대해 “예” “아니오” 또는 머리를 흔들어 대답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. 언어와 비언어기술 둘 다 환자의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특수 구강위생용품 사용
- 변형잇솔사용
-
장애자의 칫솔은 대중이 사용하는 것과 별차이는 없지만 손잡이 부분은 환자가 잡기 편하도록 크고 둥글게 고안하여 제작하거나 칫솔을 잡은 손을 감싸도록하여 작은동작에도 큰힘이 칫솔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합니다.
- 전동칫솔사용
-
전동칫솔은 미세한 손동작을 잘할 수 없는 환자에게 유용합니다. 그러나 칫솔의 무게가 무겁고 작동스위치를 켜고 끄는데 어려움이 있는 환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. 근래에는 전동칫솔을 작동시키면 칫솔의 두부가 횡마운동이나 진동운동을 하는 것 또는 회전운동을 하는 것등의 여러 가지 전동잇솔이 개발되어 심신장애환자에게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.
- 치실손잡이기구
-
보다 건강한 구강위생관리를 위해 치실사용을 권장하고 있고 치실존잡이기구는 장애자가 칫솔을 사용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.
- 치간잇솔
-
치은퇴축이 있는 환자나 치근이 노출된 환자는 치실만으로는 치간청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으므로 치간잇솔을 사용이 권장되고 있습니다. 그러므로 미리 조립된 치간잇솔은 장애자에게 유용합니다.
- 치면세균막 착색제 사용
-
육안으로 나타나지 않는 치면세균막을 청색, 옥색, 붉은색 등의 착색제를 사용하여 현재 환자의 구강위생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환자에게 동기유발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.